목록전체 글 (147)
Information Security
1) 개요 - 공통적인 부분을 처리하는 슈퍼 데몬을 만들어 개별 서비스를 등록하게 하여 클라이언트 요청은 슈퍼 데몬이 모두 처리하고 개별 서비스를 호출해주는 방식 > stand-Alone 방식 : 개별 서비스별로 서버 프로세스(데몬)가 동작하는 방식으로 속도가 빠른 장점이 있지만 서버 리소스도 많이 점유하고 있는 단점이 있다. > inetd(xinetd) 방식 : 슈퍼 데몬(inetd 데몬)을 이용하여 개별 서비스를 동작시키는 방식으로 상대적으로 속도가 느리지만 서버 리소스를 절약할 수 있다. - inetd 데몬은 N개의 개별 서버를 하나로 통합하여 클라이언트로부터 서비스 요청이 올 때마다 해당 서비스에 관련된 실행 모듈(FTP, Telnet, SSH 등)을 실행해준다. - inetd 데몬은 최초 실행 ..
- 경상이익(기타영업외이익) : 예전에는 경상이익이라고 불렀다. 경상적이라는 의미는 일상적이라는 말과 비슷한 말로 이익 중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특별이익을 뺀 기업 실적을 말한다. 영업외 수익에서 영업비용을 차감한 이익, 회사는 본연의 업무를 제외하고도 수입과 비용이 생길 수 있다. 예를 들면, 자동차 회사가 꼭 자동차만 파는 것은 아니다. 주식이나 부동산 투자로 이익을 낼 수도 있지만 자동차 공장부지로 사둔 땅이 2~3배 올라서 팔았다면, 그 차액으로 인한 이익도 재무제표에 기록해야 한다. -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: 세금을 떼기 전 이익을 말한다. 일반적으로 이익의 20%정도가 세금으로 빠져나간다고 보면 된다. 경영자가 왜 그렇게 세금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는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.
- 기존 주식의 액면가를 일정 비율로 분할하여 발행 주식의 총 수를 늘리는 것을 말한다. - 장부상 주식 1주당 가치를 일정 비율로 나눠서 주식 시장의 거래량과 회전율을 높이기 위함. - 어떤 주식 시장의 가격이 과도하게 높게 형성되어 주식 거래가 부진하거나 신주 발행이 어려운 경우에 행해진다. 이런 경우 액면분할함으로써 주당 가격을 낮추어 주식거래를 촉진할 수 있다. 보통의 경우 액면분할을 하면 특정 기업의 주식 거래량이 늘어나고 장기적으로 주가 상승에 영향을 주게 된다. - 기업의 기본적인 가치나 내용에는 전혀 변화가 없고 주주에게도 지분율 등 지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 참조 : 네이버카페 - 평생주식카페
주식종목을 검색하다보면 삼성전자우, LG화학우 이런식으로 종목명+우 가 붙는 경우가 있다. 이것을 우선주라고 주식에서는 표현하고, 배당받을권리를 우선하게 해주는대신 주총의결권이 없다. 그래서 보통 더 저렴하다. 배당 위주로 투자할거면 우선주가 유리하다고 볼 수 있다. 하지만, 왠만한 우선주는 거래량이 적어서 투자자들의 선택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. 그러면 보통주와 우선주에 대해서 제대로 알아보도록 하자 - 특별주식에 대립되는 일반적인 주식을 말한다. - 사업부진 때 배당을 받지 못하게 되고 의결권을 행사하여 경영에 참여할 수 있다. - 현재 발행되는 한국의 주식은 대부분이 보통주이다. 그러나 이 주식은 사업부진때는 배당을 받지 못하게 되고, 반대로 사업이 호전되면 고율의 배당을 받을 수 있어 투기적인 ..
- 유동/비유동 : 1년안에/1년이상 - 당기 : 이번 기에 - 이연 : 내년에 - 미지급 : 아직 안 준 - 미수 : 아직 못 받은 - 선수 : 미리받은 - 충당 : 모자란 걸 채워 넣음 - 상각 : 보상하여 갚아줌 - 손상 : 가치가 낮아짐 - 대손 : 외상 매출금, 대출금 따위를 돌려받지 못해 손해를 보는 것 - 대손충당금 : 재무상태표에 자산으로 표기되는 받을 어음, 외상매출금, 대출금 등 채권에 대해 사전에 공제하는 형식으로 계산된 금액. 대손충당금은 회수 불가능한 채권이 예상될 때 사용한다. (쉽게 말해, 외상값 중 뗴일 돈을 예측해 장부에 미리 채워놓은 금액) > 회사가 돈을 빌려주거나 외상판매를 하면 대금을 100% 받을 수는 없다. 이렇게 빌려줬다 생기는 손해를 '대손' 이라고 한다. 과..
- 납입 자본(자본금) : 처음 사업을 시작할 때, 내가 가지고 있었던 돈 = 기업의 소유자가 사업 밑천으로 기업에 제공한 금액 (임대보증금, 인테리어 등 치킨집을 시작하는 데 든 2억 원 중 내가 댄 1억 원) - 이익잉여금 : 스스로 벌어 자산을 확충하는 투자 = 기업 영활동을 통해 생긴 순이익 중 배당이나 상여 등의 형태로 사외로 유출시키지 않고 사내 유보한 금액 (2년 뒤 월급과 모든 비용을 충당하고도 남은 5000만원) - 자본잉여금 : 주주와 회사의 주식 거래로 생긴 변화를 기록한 것 = 자본 거래에 의한 잉여금 ( 6개월 정도 치킨집을 운영하다 보니 가게를 터서 확장하려고 친구에게 투자받은 1억 원)
- 부채는 크게 유동부채와 비유동부채로 나뉜다. - 둘을 구분짓는 것은 '상환 시점' 이다. - 유동부채 : 1년 안에 갚아야 할 부채 - 비유동 부채 : 상환 시점이 1년 이상인 부채 1. 유동부채 - 매입채무 : 거래처에서 구매한 상품에 대한 대가 (외상 거래로 아직 거래처에 갚지 못한 대금) - 미지급금 : 상품이나 제품을 뺀 용역, 서비스에 대해 지불해야 하는 돈 - 선수금 : '착한 부채' 라고도 불림, 빚은 맞는데 현금으로 갚는게 아니라 용역이나 서비스로 지급하는 부채 ( 거래처가 우리 회사에 미리 일시불로 현금을 지급한 경우, 우리 회사는 앞으로 용역과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기 때문에 이를 부채 명목으로 선수금이라 기록) - 예수금 : 신원보증금처럼 임시로 보관하는 금액 - 미지급비용 : 보험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