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nformation Security
채권이란? 본문
1) 채권에 대해 ...
- 정부,공공기관,기업이 비교적 장기의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투자자들로부터 돈을 빌리고 일정기간 후에 돌려주겠다고 약속한 채무증서(증권)
- 국가가 큰 돈이 필요할 때 채권을 발행하면, 은행을 비롯한 여러 기관투자자들이 이 채권을 사간다. 그리고 국가는 채권을 산 자에게 몇 년 뒤에 이자를 더 얹어서 채권을 되사는 방식으로 대출을 갚는다.
- 대출과의 차이점은 '거래가 가능하다'는 점이다. (채권을 발행한 국가가 빛을 확실히 갚을 수 있기 때문에)
- 채권이란 국가/기업 등의 기관이 자본을 빌릴 때 신용도가 매우 높다는 것에 착안하여, 그 빚문서를 거래가 가능한 증권형태로 발행하여 불특정 다수로부터 돈을 빌릴 수 있게 한 제도이다. 기관은 많은 투자자들로부터 돈을 쉽게 빌릴 수 있고, 돈을 빌려준 투자자들은 빚문서를 사고 팔면서 경제적 이익과 유동성을 동시에 얻을 수 있다.
2) 채권과 주식의 차이
- 주식은 자본으로 간주하고, 채권은 부채로 간주한다.
- 주식은 오직 주식회사만이 발행가능하다, 채권은 정부,지자체,주식회사 등 주식에 비해 발행기관의 범위가 훨씬 넓다.
- 주식은 만기가 없는 영구증권이지만, 채권은 만기가 존재하는 기한부증권이다.
- 만약 기업이 도산했다면 주주의돈보다 채권자의 돈을 먼저 갚아야 하므로, 주식보다 채권이 선순위 청구권을 가지고 있다.
- 채권과 주식은 모두 원금손실의 위험성이 있지만 주식은 시세변동이 심하고 채권은 시세변동이 크지 않아 안정적인 투자가 가능하다.
3) 채권의 종류
- 국채 : 국회의 의결을 얻은 후 정부가 발행하는 채권, 국가가 상환을 책임지므로 은행예금보다 더 안전하다.
- 지방채 : 지방재정법에 의거하여 지자체가 발행하는 채권, 국채에 비해 신용도와 유동성이 낮음
- 회사채 : 상법상 주식회사가 자금조달을 위해 발행하는 채권
- 특수채 및 금융채 : 특별법에 의해 설립된 법인이 발행하는 채권, 국채와 회사채의 중간정도의 리스크 및 기대수익률을 올림
'§돈을 벌어보자! > 주식 공부!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주식매수청구권 (0) | 2020.07.12 |
---|---|
이브이에비타(EV/EBITA) (0) | 2020.05.18 |
DLS & ETN (0) | 2020.05.14 |
주식의 상하한가 제도 & 거래중지 제도 (0) | 2020.05.14 |
유통시장, 발행시장 (0) | 2020.05.14 |